휴대용 보조배터리 화재 주의해야 (feat. KC인증 확인 필요)

2025. 3. 17. 16:59생활.정보

휴대용 보조배터리는 일상에서 필수품이 되었지만, 화재 사고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요.

 

최근 보도된 뉴스 사례에서도 그 위험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사고 원인, 보조배터리로 추정"하고 있다.

 

이번 대형 사고 마음이 무척 아팠어요...

비행기 화재
비행기화재

 

 

1. 보조배터리 화재의 주요 원인

보조배터리 화재는 주로 배터리 내부의 화학 반응과 외부 충격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화재 중 절반가량이 보조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는데, 이는 보조배터리의 특성 때문으로 해석된다. 

 

일반적으로 보조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아 많은 전력을 저장할 수 있으며, 다른 소재에 비해 가벼워 휴대성이 좋은 리튬이온(lithium-ion) 배터리가 주로 사용되는데 과충전이나 과열로 인해 배터리 온도가 상승하면, 양극 소재인 리튬금속산화물이 분해돼 산소를 방출하고, 음극과 전해질의 계면층이 파괴되면서 가연성 가스가 생성되어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배터리가 부풀어 오르는 스웰링(swelling) 현상이 발생하고, 결국 분리막이 손상되면서 열폭주로 이어지게 된다. 또 보조배터리를 떨어뜨리거나 강한 충격에 내부 배터리 셀이 손상돼 단락이 발생할 수 있는데 열이 급격히 올라가면서 발화로 이어질 수 있다.

 

1) 내부 단락(쇼트)

  • 배터리 내부에서 전극 간 단락이 발생하면 과열로 인해 발화할 수 있습니다.
  • 제조 결함, 불량 셀, 충격에 의한 손상이 주요 원인입니다.

2) 과충전 및 고온 환경

  • 과도한 충전으로 인해 배터리 내부 온도가 급상승하면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차량 내부, 직사광선 아래 등 고온 환경에 방치할 경우 화재 위험이 높아집니다.

3) 물리적 충격 및 손상

  • 보조배터리를 강하게 떨어뜨리거나 찌그러뜨리면 내부 셀 손상이 발생하여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특히 저가형 배터리는 내구성이 약해 충격에 취약합니다.

4) 불량 제품 및 배터리 팽창

  • 인증받지 않은 저가형 배터리나 오래된 배터리는 내부 가스가 차오르며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 이를 방치하면 배터리 폭발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2. 최근 보조배터리 화재 사고 사례

최근 몇 년간 발생한 보조배터리 화재 사고를 살펴보면, 대부분 위의 원인들과 관련이 있습니다.

1) 비행기 내부 보조배터리 화재 사건

  • 한 국제선 항공기에서 승객의 보조배터리가 폭발하여 기내가 연기로 가득 찬 사건이 있었습니다.
  • 원인은 배터리의 내부 결함과 충격으로 인한 손상이었으며, 다행히 승무원이 신속히 진화하여 대형 사고로 이어지지 않았습니다.

2) 차량 내부 폭발 사고

  • 한 운전자가 차 안에 보조배터리를 두고 자리를 비운 사이 배터리가 폭발하여 차량 대시보드가 불타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 이는 여름철 직사광선과 고온 환경에서 장시간 방치된 것이 원인이었습니다.

3) 가방 속 보조배터리 화재

  • 한 시민이 가방에 넣어둔 보조배터리가 갑자기 발화하여 인근 사람들이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습니다.
  • 조사 결과, 충전 중이던 배터리가 과열되며 불이 붙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3. 보조배터리 화재 예방 방법

보조배터리의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예방 조치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인증된 제품 사용하기

  • KC 인증, UL 인증 등 신뢰할 수 있는 안전 인증을 받은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 저가형 무허가 배터리는 화재 위험이 높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벨킨 5000mAh 맥세이프 마그네틱 무선 충전 보조배터리 + 스탠드, BPD004, 화이트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2) 올바른 충전 및 보관 습관

  • 고속 충전기보다는 정격 충전기를 사용하고,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 후 즉시 충전기를 분리해야 합니다.
  • 직사광선이 닿는 곳이나 차량 내부 등 고온 환경에서 보관하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3) 배터리 손상 확인 및 폐기

  • 배터리가 부풀어 오르거나 변형되었다면 즉시 사용을 중지하고 안전하게 폐기해야 합니다.
  • 손상된 배터리는 재사용하지 말고, 각 지역의 전자 폐기물 수거함에 버려야 합니다.

4) 충격 방지 및 안전한 사용 습관

  • 가방 안에서 날카로운 물건과 함께 보관하지 않고, 배터리 전극 부분이 눌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사용 후에는 방전된 상태로 두지 말고, 적절한 전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휴대용 보조배터리는 편리한 만큼 올바르게 사용하지 않으면 화재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요. 

 

보조배터리를 사용할 때는 항상 주의하여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주세요.

 

우리 모두 전기제품은 국가인증 KC 확인 꼭 꼭 꼭 해주세요~ 그래야 마음도 편해지지 않나요?

 

"안전제일" 사건.사고 없는 대한민국을 만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