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크저커버그

"좋아요" 하나가 바꾼 선거 (feat.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 정보 유출 사건) Cambridge Analytica 와 페이스북 개인정보 유출 사건 에 대하여 ...개인정보법이 강화 되기 전의 사건이예요. 개인들의 정보를 무작위로 수집하여 광고 및 심지어 정치에까지 사용 된 사례인데요..우리나라에도 비슷한? "댓글부대".. 음!!! 맞나??? 1. 시작은 평범한 심리 테스트였어요2014년경 페이스북 사용자들 사이에서 유행하던 작은 심리테스트 앱이 있었어요“당신의 성격은 어떤 유형인가요”“당신의 정치 성향은?”이런 가벼운 테스트들이었죠 이 앱을 만든 사람은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연구자였고 사용자는 페이스북 계정으로 간단히 로그인하고 테스트를 끝내면 자신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받을 수 있었어요 하지만 문제는 여기서 시작돼요그 앱은 단순히 로그인한 본인의 정보뿐 아니라친구 목록, 좋.. 더보기
"좋아요" 사람들이 중독됐다 (feat. Like) 페이스북 ‘Like’ 버튼과 알고리즘 논란은 기술이 만든 ...편리함, 그리고 그 이면의 그림자 일 수도 있어요 ??!! 좋아요 하나가 만든 세계은 우리가 알고 있는것 보다 훨씬 복잡해요.."좋아요" ..."Like" ...나의 생각은 ... 1. '좋아요'는 단순한 버튼이 아니었어요2009년, 페이스북은 지금은 너무 익숙한 ‘좋아요(Like)’ 버튼을 처음 도입했어요.사용자가 친구의 게시글, 사진, 댓글 등에 간단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만든 기능이었죠.처음에는 단순했어요.복잡한 댓글 대신 “나도 공감해”“멋지다”같은 감정을 한 번의 클릭으로 ...표현할 수 있어서 모두가 편하고 재밌어했어요. 하지만 저커버그와 개발팀은 이 버튼이 단순한 반응 도구를 넘어서 사용자의 행동과 관심사를 측정할 수 있는 데이.. 더보기
마크 저커버그, 꿈꾸는 또 하나의 다른세계 (feat. Orion 안경) Meata 의 메타버스 실형을 위한 VR 에 대한 이야기예요. 놀이공원에 가면 가상현실 체험으로 VR 쓰고 놀이기구에 타서 즐기기도 하지요~난 하나도 안무서운데.. 왜 소리를 지르는지 ㅎ 그런데 Meta 에서는 VR 고글이 아니고 안경 'Orion' 을 개발 했는데.. 스마트 폰이 없어지고, 안경으로 모든것을 활용 할 수 있다고 하는데... 눈앞에 펼쳐지는 메타버스, 이제는 현실처럼 보여요 1. 메타버스에 진심인 저커버그, 이번엔 ‘안경’을 꺼냈어요마크 저커버그는 오랫동안 “메타버스는 미래다”라고 외쳐왔어요.페이스북을 Meta로 바꾸면서까지 미래 비전을 걸었던 이유죠.Facebook 일 때는 GAP 후두 많이 입었는데..Meta 에서는 자주 양복 정장 슈트를 자주 입네.. 내 생각만 그런가..?? ㅎ .. 더보기
사랑과 배신에서 시작된 Facebook (feat. Facemash.com) 출발이 비록 실수와 논란 속에서 태어난 Facemash.com 였지만,결국 그는 거기서 배운 걸 바탕으로 세상을 바꾸는 플랫폼으로 진화시켰어요. 바로, 마크 저커버그가 Facebook을 성공시킨 이유이기도 하죠. 이 이야기의 바탕은 영화 "쇼셜 네트워크"에 기반 하니 안보신 분은 시청하시고 와서 .. ㅎ 1. 전 여친과의 이별, 그 밤의 분노가 시작이었어요2003년 어느 날 밤, 하버드의 한 기숙사 방.마크 저커버그는 여자친구에게 차였어요.그녀는 마크가 너무 자기중심적이고, 예의가 없다고 말했죠.갑작스러운 이별에 상처받은 마크는 그날 밤, 술기운에 블로그에 분노 가득한 글을 남기고 ..곧바로 자신의 특기인 코딩을 시작했어요.하버드 학생들의 얼굴을 무작위로 보여주고,누가 더 매력적인지를 투표하는 사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