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엔비디아

엔비디아가 만든 AI 혁신, 코스모스 (feat. "월드모델") AI가 ‘세상을 이해하는 법’을 가르치려는 도전에 대한 이야기 예요2024년 초, 엔비디아는 AI 연구계에 놀라운 소식을 전했어요. 새로운 범용 AI 시스템을 발표했는데, 이름은 Cosmos(코스머스). 이건 단순한 챗봇이나 이미지 생성 AI가 아니에요.‘세상의 규칙과 물리적 상식’을 이해하려는 AI,즉 인간처럼 ‘세상 전체’를 인식하려는 월드 모델이에요. 여러분들도 아는거와 같이 기술을 몰라도, AI 가 진화 하려면 '학습' 이라는 많은 데이터를 '학습' 해야 되는 것은 아시죠 ??? 설마.. 모른다고 하시지는 ㅜㅜ 우리의 현실속에서 AI 가 학습하려면 너무나도 제한적이고, 위험한 일들을 학습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AI 학습을 위하여 현실의 위험한 상황을 만들거나 제공 해서는 안되겠죠... .. 더보기
젠슨 황, AI 이전 어떻게 알고 미리 준비했지? (feat. CUDA 소프트웨어) 여러분... CPU, GPU... 요늘날에는 TPU 까지, 용어들이 너무 어렵죠.. ㅜㅜ 젠슨 황이 AI시대 이전미리 준비한준비하며서 고생한 그렇지만 결말은 대성공 이라는 이야기를 하려고 해요 (기술적 서술은 자제 할께요 ㅎ) 그럼, 그의 한계를 넘어서 만든 CUDA의 도전과 교훈에 대해 빠져보시죠! 1. 모두가 CPU를 믿던 시대, 그는 GPU를 믿었어요2000년대 초반, 대부분의 컴퓨터 산업은 여전히 CPU 중심의 세계였어요.게임에서 그래픽을 빠르게 처리하려고 만든 GPU는그저 “그래픽 전용 칩”으로만 여겨졌고요.하지만 젠슨 황은 GPU 안에 훨씬 더 큰 가능성이 있다고 믿었습니다.그는 이 병렬 구조의 칩이 단순히 그래픽을 넘어서과학, 의학, 금융, AI까지 모든 분야의 연산을 바꿔놓을 수 있다.. 더보기
젠슨 황, 그래픽카드보다 먼저 만든 건? (feat.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AI 시대를 이끄는 천재 CEO의 놀라운 첫 기술 이야기를 하려고 해요. 조금은 기술 이야기 이지만 ... 뻘쭘GPU 즉 말 그대로 컴퓨터 그래픽을 처리하는 장치로, 그래픽 카드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 예요.CPU 10배 이상 성능을 가지고 있고 2000년대 후반부터 GPU를 3D 그래픽 이외의 컴퓨팅 분야에 사용하기 시작했지요. 너무 기술 이야기를 하면 재미 없으니 본론으로 들어 가시죠 ~ 1. 미국 식당 설거지 소년, 젠슨 황젠슨 황(Jensen Huang)은 1963년 대만에서 태어나 9살 때 미국으로 이민을 왔습니다.그가 처음 도착한 곳은 미국 테네시주의 한 시골 기숙학교.그곳에서 영어도 제대로 못하는 어린 소년은 기숙사 식당에서 설거지와 청소를 하며 미국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