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 교환원이라는 직업은 오늘날 거의 잊혀졌지만, 기술의 발전으로 자동 전화교환 시스템이 도입되기 전까지, 교환원은 두 사람 사이의 통화를 수동으로 연결해주는 중요한 임무를 맡고 었어요.
당시의 전화 교환원들은 수많은 선이 연결된 거대한 스위치보드 앞에서 일하며, 호출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였어요 ~
전화회선의 주파수대역폭은 300∼3,400Hz가 사용되고, 교환기 전화의 교환방식은 교환원의 필요 여부에 따라 수동식과 자동식으로 분류 되어요.
서두 가 너무 길었나요 ㅎ
그럼 바로 ~
스티브 워즈니악과 블루박스 이야기를 시작 할께요 ..

1. 호기심 많은 대학생 워즈니악의 발견이었어요
1971년, 스티브 워즈니악은 UC 버클리에서 전자공학을 공부하고 있었어요.
그는 늘 최신 기술에 관심이 많았고 당시 전화 시스템 구조에 관한 정보를 우연히 접하게 돼요.

특정 주파수,
특히 2600Hz 톤을 이용하면 전화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흥미를 느꼈어요.

그는 곧장 관련 자료를 모으고 버클리의 기숙사 방 안에서 블루박스를 처음으로 회로에 구현하기 시작했어요.
이 실험이 성공하면서 그의 천재적인 설계 능력이 제대로 빛을 발하게 되었어요.
2. 블루박스는 워즈니악의 손으로 완성됐어요
워즈니악은 단순한 복제가 아니라 자신의 손으로 더 작고 정밀한 블루박스를 직접 설계했어요.
회로 하나하나를 효율적으로 구성했고 휴대 가능한 크기로 줄이는 데 성공했어요.

그가 만든 블루박스는
단지 전화망을 속이는 장난감이 아니라
전자 회로 설계의 예술 수준을 보여주는 작품이었어요.
그는 버클리에서 혼자 이 회로를 실험하고 기능을 점점 고도화하며 완성도를 높여갔어요.
이때까지는 스티브 잡스와 함께라기보다
워즈니악 개인의 깊은 탐구와 기술 집착이 중심이었어요.

3. 잡스는 그 가능성을 바로 알아봤어요
워즈니악은 블루박스를 완성한 뒤 스티브 잡스에게 이 기계를 보여줬어요.
잡스는 단번에 가능성을 알아봤어요.

그리고 이렇게 말했어요.
잡스는 워즈니악에게 이걸 실제 제품처럼 만들어서 팔아보자고 제안했어요.
워즈니악이 기술을 맡고
잡스가 판매 전략을 맡은 거예요.

그들은 몇 대의 블루박스를 만들어 기숙사 친구들, 호기심 많은 사람들에게 팔기 시작했어요.
이게 두 사람의 첫 번째 '공동 창업 실험'이었어요.
4. 장난 같지만, 기술과 상상력이 만난 순간이었어요
이 장치는 엄밀히 말하면 불법 기기였어요.
전화망을 조작해 무료로 장거리 전화를 거는 행위는 위법이었지만
그들은 단순한 이득보다 무언가를 만들었다는 뿌듯함에 빠져 있었어요.
워즈니악은 훗날 이렇게 말했어요.

그 말은 허세가 아니라
기술과 사업이 처음으로 만난 계기였다는 뜻이에요.
잡스는 이 경험을 통해
제품을 어떻게 시장화할지를 배웠고
워즈니악은 세상을 바꿀 수 있는 기술이
작은 아이디어에서 시작될 수 있다는 걸 체감했어요.
5. 결국 블루박스는 그들만의 첫 번째 ‘애플’이었어요
블루박스는 나중에 경찰에 발각될 뻔하면서 둘은 조용히 그 프로젝트를 정리했어요.
하지만 그것은 단순한 장난이 아니었어요.
그건 워즈니악이 설계하고,
잡스가 세상과 연결한 최초의 ‘제품’이었어요.

특히 워즈니악에게 블루박스는
기술이 단지 코딩이나 전선이 아니라
사람과 세상을 연결할 수 있는 ‘마법’이 될 수 있다는 걸 느끼게 해준 순간이었어요.
이후 둘은 Apple I 을 함께 만들고
세계 최초의 개인용 컴퓨터 시대를 열게 돼요.

하지만 그 전, 기숙사 방에서 완성된 작은 블루박스가 모든 시작이었어요.
'위대한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 쓰레기 조용히 청소하는 영웅 (feat. 워즈니악) (0) | 2025.05.21 |
---|---|
진짜 Apple 을 만든 사람은 누구였는가? (feat. 스티브 워즈니악) (0) | 2025.05.14 |
저커버그의 사랑 (feat. 특별한 약속) (0) | 2025.04.29 |
"좋아요" 하나가 바꾼 선거 (feat.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 정보 유출 사건) (0) | 2025.04.28 |
"좋아요" 사람들이 중독됐다 (feat. Like) (0) | 2025.04.25 |